투명하고 맑은 술, 부드러운 향과 목넘김. 얼핏 보면 한국의 청주와 일본의 사케(日本酒)는 매우 비슷해 보여요.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두 술의 차이를 헷갈려 하기도 하구여. 저역시 어제 청주 마시다가 사케랑 뭐가다르지? 이런 궁금증이 들더라구요. 구래서 알아봤습니다. 알아보니 이 두 술은 원료, 제조법, 문화적 배경까지 전혀 다른 전통을 가진 술이더라구연
공유해드릴께요
1. 재료는 같지만, 시작이 다르다
청주와 사케는 모두 쌀을 발효시켜 만든 술이라는 공통점이 있어여. 하지만 사용되는 쌀부터 다릅니다.
• 청주는 일반적으로 찹쌀이나 멥쌀, 가공되지 않은 쌀을 사용하고,
• 사케는 ‘사케용 정미 쌀(酒米)’을 사용하며, 쌀을 60~70%까지 깎아내요. (이를 정미율이라 부름)
즉, 사케는 쌀의 표면을 벗겨내고 중심부만 사용해 잡맛을 줄이는 데 집중하고,
청주는 곡물 고유의 맛을 살리는 전통을 더 중시하는 경향이 있는거져.
2. 누룩과 효모의 차이
발효 과정도 달라여
• 청주는 한국 전통 누룩(곡물과 자연 효모로 만든 발효제)을 사용합니다. 이 누룩은 다양한 미생물이 혼재되어 있어 복합적인 풍미를 내구여.
• 사케는 ‘코지(麹)’라는 곰팡이를 접종한 쌀누룩을 사용합니다. 이 방식은 발효가 보다 안정적이고 깔끔한 맛을 낼 수 있어여
즉, 청주는 토속적이고 자연 발효에 가까운 맛, 사케는 정제되고 섬세한 맛이라는 평가가 많아여.
알고 생각해보니까 진짜 맛이 그런 차이가 있는거 같기도;; 맛과 향을 좀더 디테일하게 보면
3. 맛과 향의 성향 차이
• 청주는 쌀의 고소한 향, 곡물의 무게감, 약간의 단맛과 산미가 섞여 무게감 있는 술이에여.
• 사케는 꽃향이나 멜론 같은 은은한 과일향과 깔끔한 단맛이 도드라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청주는 한식(특히 전과 탕)에 잘 어울리고,
사케는 스시나 튀김처럼 섬세한 맛의 음식과 잘 어울린다.
약간 조금더 사케가 청주보다 물맛에 과일향이더 많이 나는 느낌이지 않아여? 만들어지는 차이점을 알고 보니 왜 그런지 조금 알꺼같기도..!
4. 문화적 배경과 음용 방식의 차이
• 청주는 제사, 혼례, 환갑잔치 등 의례 중심의 술로 발전했고, 가족 공동체와 연결된 문화구요.
• 사케는 신사나 마쓰리(축제), 나이센(접대 문화) 등 개인 또는 사회적 관계를 강조하는 술로 자리잡았어요.
또한 청주는 온도 변화 없이 차게 또는 상온으로 마시는 경우가 많지만,
사케는 덥혀 마시는 ‘아츠캉(熱燗)’ 문화도 잘 발달되어 있다. 아츠캉마시면 좀더 빨리 취하는거같은거 저만 그런가여;;
조금더 직관적으로 정리해보면요
1. 한국 기준에서 ‘청주’란?
• 청주(淸酒)는 문자 그대로 맑은 술,
즉, 쌀로 빚은 술을 여과해 탁한 찌꺼기를 걸러낸 술을 말합니다
• 우리나라에서는 탁주(막걸리)와 청주(약주)를 구분하구여
• 예:
• 이화주, 백화수복, 법주, 감홍로 등은 한국식 전통 청주.
• ‘청주’라는 말 자체가 술의 물리적 상태(맑다)에 기반을 두고 있어여
⸻
2. 일본 기준에서 ‘사케(酒)’는?
• 일본에서는 사케(酒)라는 단어가 그냥 ‘술’ 전반을 의미하고,
• 그중 쌀로 만든 맑은 술을 니혼슈(日本酒) 또는 세이슈(清酒)라고 부릅니다.
• 즉, 일본에서 사케 = 세이슈 = 일본식 청주
그니까 청주는 한국의 맑은 술을 의미하고
사케는 일본 술을 전반적으로 통틀어서!
청주가 사케다! 이건 아니지만
한국식 사케는 뭐가 있어? 하면 웅 청주가 있어
혹은 일본식 청주는 뭐가있어? 응 사케~
이렇게 대답할수 있는거져
그런데 요즘은 경계가 흐려지긴 해요
최근에는 청주도 정제된 스타일로 현대화되고,
사케도 전통적인 무여과주, 탁주 스타일 등 다양성을 추구하면서,
두 술의 성격이 조금씩 겹치는 부분도 생기고 있거든요.
특히 한국에서도 ‘사케 스타일 청주’, 일본에서도 ‘막걸리 스타일 사케’가 실험적으로 생산되는 추세니까요
무튼!!
청주와 사케는 맑은 술이라는 외형적 공통점 속에서도
그 나라의 기후, 문화, 철학, 식생활이 녹아든 전혀 다른 술이란걸 알았습니다.
청주 한 잔에는 가족과 조상을 향한 마음이 담겨 있고,
사케 한 잔에는 섬세함과 일본 특유의 정제미가 담겨 있는것 같아요.
어때여 알고 마시니까 좀더 재밌지 않나요?
오늘 청주한잔 콜?
'술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임스 본드와 마티니 – Shaken, not stirred (1) | 2025.04.16 |
---|---|
일본 사무라이들의 마지막 사케 한 잔의 의미 (0) | 2025.04.15 |
아직도 막걸리는 장수만있다고 생각하시나;; 컴온 막걸리 추천드림 (5) | 2025.04.12 |
내가 아는 그 나폴레옹이 코냑 등급으로 표기되는거 맞아?! - 꼬냑과 나폴레옹 (1) | 2025.04.11 |
영화속 그 초록술 뭔데?! - 천재들을 홀린 금단의 술 압생트 (2)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