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백과 청주 – 중국 최고의 시인이 사랑한 술
중국 당나라 최고의 시인으로 불리는 이백(李白). 그는 ‘시선(詩仙)’, 즉 시의 신선이라 불릴 만큼, 상상력과 감성이 넘치는 시를 남긴 인물이에요. 그의 창작의 원천에는 언제나 청주 한 잔이 있었죠.
그가 술을 예찬하며 쓴 대표적인 시 중 하나가 바로 《장진주(將進酒)》예요. 이 시는 다음과 같은 구절로 잘 알려져 있어요:
“人生得意須盡歡 莫使金樽空對月”
(인생이 뜻을 이루었을 때는 마음껏 즐겨야 하니, 금술잔을 달빛 아래 비워두지 말라)
금술잔을 달빛 아래 비워두지 말라니. 잔채워라 라는 말을 이렇게 낭만적으로 할 인가;;;;
이백은 인생의 짧음을 깨닫고, 술을 통해 순간을 즐기고 예술로 승화시키는 삶을 추구했어요. 그의 시에는 술을 통해 고양된 영감과 해방의 감성이 진하게 배어 있어요.
시를 부르는 술, 청주
청주는 쌀을 발효해 걸러낸 맑은 술입니다. 청주와 사케 차이를 말씀드리면서 짚었던 내용이죠. 이백은 청주의 은은한 향과 부드러운 목넘김을 즐기며, 술이 주는 몽환적인 기운 속에서 수많은 명시를 써내려갔어요.
그의 유명한 시 중 하나인 《월하독작(月下獨酌)》에서는 이렇게 말하죠:
“꽃 사이에 술 한 병 놓고, 홀로 마시니, 그대는 없고 달과 나와 그림자만 있다.”
이백에게 술은 단순히 마시는 것이 아니라, 고독과 교감, 환상과 자유의 매개였어요.
물 위의 전설, 낭만적 최후
이백은 물 위의 달을 잡으려다 빠져 죽었다는 전설로도 유명해요. 어느 날 밤, 강 위를 떠다니는 달빛에 매혹된 그는 뱃전에서 몸을 기울이다 강물에 빠져 생을 마감했다고 전해지죠. 아마 이백의 시는 몰라도 이 일화는 많은 분들이 아실꺼에요.
네 이백의 이야기 입니다.
물론 이것은 사실 여부를 떠나, 이백이라는 인물의 낭만적인 상징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이야기예요. 시와 술, 달과 물, 그리고 삶과 죽음이 뒤섞인 이 전설은 그가 추구했던 자유로운 정신과 비현실적 감성을 그대로 드러내요.
술과 시, 현실을 초월한 도약
이백은 가난했고, 관직에 오래 머물지도 못했어요. 그는 세상의 질서를 따르기보다, 자연과 감정, 자유와 예술을 향해 나아간 방랑 시인이었어요. 술은 그에게 날개였고, 그 날개는 현실을 넘어서는 힘을 주었죠.
“한 잔의 술로 시를 짓고, 또 한 잔으로 슬픔을 씻고.” 그의 삶은 마치 시처럼, 술처럼 흘러갔어요.
오늘날 이백은 여전히 중국인들에게 가장 사랑받는 시인이자, 술과 예술의 경계를 허문 인물로 남아 있어요. 그의 시를 읽다 보면, 절제보다 낭만이, 논리보다 감정이 먼저인 삶이 얼마나 아름다울 수 있는지 느껴져요.
달빛이 드리운 밤, 조용한 곳에서 청주 한 잔을 기울이며 이백의 시를 읊어보세요.
그 순간, 당신도 물 위를 걷는 시인이 되어 있을지도 몰라요.